(이글은 pdAdmin을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AWS RDS의 퍼블릭 엑세스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 외부에서 접속이 불가능하다.
그런데 pgAdmin 같은 툴로 DB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조회도 해보고 변경도 해보고 싶다.
그럴때는 EC2를 통로로 사용하여 RDS와 연결할 수 있다.
준비물로는 EC2의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받은 pem과, RDS의 엔드포인트, 그리고 EC2의 퍼블릭 IP 주소이다.
ssh -i path/to/my-key.pem -L 5444:<RDS 엔드포인트>:5432 ubuntu@<EC2 퍼블릭 IP>
터미널로 위 명령어의 해당값들을 변경하여 ssh 터널링을 실행한다.
참고로 로컬의 port번호를 겹치지 않게 5444로 설정했으며, 터널링을 종료하게되면 연결 또한 끊기게 된다.
그리고 pgAdmin으로 가서
name은 원하는데로
Host는 localhost
Port는 위 명령어에서 설정한 -L 뒤의 포트번호를
database는 그대로 postgres
username은 RDS를 생성할 때 적은 username
password도 RDS를 생성할 때 적은 password
를 입력해주고 save를 누르면 잘 연결 된다.
'코딩 > 배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비아의 DNS 설정 변경으로 호스팅 (0) | 2025.04.04 |
---|---|
EC2에 Nginx 설치해서 https 처리하기 (0) | 2025.04.03 |
AWS 프리티어 IPv4 사용료가 발생할 경우들 ($0.005 per In-use public IPv4 address per hour) (1) | 2024.12.01 |
AWS RDS 프리티어 요금 부과 안되게 생성하기 (0) | 2024.12.01 |
AWS 실제 청구 요금2 + RDS (1) | 2024.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