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발단

앞서 https를 EC2에 Nginx를 설치해서 처리하는 방식으로 변경하였다.

https://springdream0406.tistory.com/258

 

EC2에 Nginx 설치해서 https 처리하기

발단이전에는 CloudFront를 사용하여 https 처리를 했다.https://springdream0406.tistory.com/241 배포 cookie 문제소셜 로그인을 위해, jwt로 만든 refreshToken을 cookie에 담아서 주고받는 기능이 있는 프로젝트를, F

springdream0406.tistory.com

 

따라서 이제 매달 $55의 비용을 지불하는 AWS의 Route53을 사용한 호스팅이 필요없어져서 이를 삭제 하게 되었다.

그리고 도메인에 대한 호스팅은 해줘야되기 때문에 가비아의 DNS 설정을 변경해서 이를 대신해주기로 했다.


방법

가비아에 로그인하여 도메인 관리에 들어가 AWS에서 관리하기위해 변경했던 네임서버를 가비이로 돌려주어야 한다.

네임서버 설정에 들어가면 전체 가비아 네임서버 사용 버튼으로 쉽게 원상복귀 시킬 수 있다.

 

이후 DNS 관리 툴이라는곳을 들어가면 구매한 도메인들에 대한 관리를 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오며, 해당 도메인에 레코드 추가 기능을 사용하여 AWS의 Route53에서 추가했던것처럼 추가해주면 된다.

내 경우 타입은 A, 호스트에 back을 써주고, IP 주소로 AWS의 퍼블릭 IPv4 주소를 적어주었다.

이렇게 하면 back.도메인주소로 들어가게되면 https 설정된 EC2에 접속하게 된다.


오류

Netlify에서 프론트를 배포하는 중인데 Netlify에서의 DNS 설정과 HTTPS 발급 기능으로 인해 가비아와 설정이 꼬이는 문제가 발생했다.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기본 도메인 설정: front와 같은 www가 아닌 호스트를 먼저 추가하고, Netlify의 Domain Management에서 등록한다.
  2. 추가 도메인 등록: 이후 www 호스트를 추가하고 Netlify에 등록하면 www 주소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만약 www를 먼저 설정하면 Netlify의 자체 설정과 충돌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www가 아닌 주소를 먼저 등록하여 Primary domain으로 설정한 후 추가 도메인을 등록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아니면 그냥 DNS 설정을 Netlify로 옮기면 된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