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

AWS RDS의 데이터베이스 생성으로 들어간다.

(글에서 다루지 않은 부분은 기본설정 그대로 놔둡니다.)

 

Aurora는 프리티어가 아니다.

 

프리 티어를 선택해주자.

DB 인스턴스 식별자 AWS의 DB탭에 표시되는 이름이며,

마스터 사용자 이름은 DB 연결시 적는 username 이고,
마스터 암호가 DB 연결시의 password 이다.

 

현재 프리티어는 t4 까지 지원하며, 기본설정으로 되어있다.

 

기본 설정되어있는 gp2, 20GB까지는 현재 프리티어 무료이다. (gp3는 유로다.)

 

EC2 인스턴스를 미리 생성했다면, EC2 컴퓨팅 리소스에 연결을 지금 하는게 편리하다.

 

퍼블릭 엑세스를 "예"로 선택할 경우 ip가 부여되고, 이는 퍼블릭 ip 사용료 발생의 원인이 된다.

 

 

좌: EC2_네트워킹, 우: 데이터 베이스 생성_옵션

만약 위에서 EC2 컴퓨팅 리소스에 연결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가용 영역에서 EC2와 같은 가용영역으로 선택을 해주지 않으면, 나중에 EC2에서 DB 연결시 통신비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구가 뜨게 된다.

 

모니터링은 프리 티어가 7일 이라 체크 해제 했다.

 

자동 백업은 요금이 발생한다는 말이 있던데 기본 체크 되어있길래 일단 놔두어보았다.

 

참고로 자세한 AWS RDS 프리티어 설명은 https://aws.amazon.com/ko/rds/free/ 에서 확인 가능하다.


모니터링

글을 작성한 24년 12월 부터 현재 25년 2월까지 RDS에 관련된 요금이 부과되지는 않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