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Netlify에 간단한 프론트를 배포하고, AWS에 간단한 서버를 배포했는데

Netlify의 프론트는 https 이고, AWS의 서버는 http 상태라서 통신 오류가 났다.

정석은 AWS의 서버를 https로 변경하는거지만, 간단한 맛보기용 사이트를 위해 도메인을 구매하기 까지 하는건 아니라는 생각에 찾아보니 해결방법이 있었다.

 

방법은 Netlify의 redirects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프로젝트 경로 최상단에

_redirects

라는 파일을 한개 만들어주고,

/api/* http://서버주소/:splat 200

를 입력해준다.

이는 3개로 나뉘어진 코드로 앞의 /api/*는 받게될 요청의 경로, 중간은 요청을 넘길 주소, :splat은 앞의 요청경로 뒤에 붙는걸 뒤에 붙여주는 의미 ex) api/getData => 서버주소/getData 인듯 싶다. 마지막으로 끝의 200은 상태 코드.

간단히 말해 api/getData라는 요청이 들어오면, 서버주소/getData로 요청을 보내는것 같다.

때문에 api 대신에 알아보기 쉬운 단어로 변경해도 될 듯 싶다.

 

그리고 원래 프론트의 요청 주소를

api

혹은 뒤에 더 붙는다면

api/getData

으로 변경해준다.

 

 

참고 블로그

 

https://velog.io/@jiheon788/Netlify%EC%97%90%EC%84%9C-HTTPS-HTTP-%ED%86%B5%EC%8B%A0-%ED%95%B4%EA%B2%B0-%EA%B3%BC%EC%A0%95

 

Netlify에서 HTTPS -> HTTP 통신 해결 과정

공유책방 프로젝트 중 네트워크 통신 문제 해결 경험입니다.

velog.io

 

https://velog.io/@manner9945/%ED%94%84%EB%A1%A0%ED%8A%B8%EC%97%94%EB%93%9C-%EB%B0%B0%ED%8F%AC-Netlify-%EC%82%AC%EC%9A%A9

 

프론트엔드 배포 - Netlify 사용

정적 웹 사이트 (js/html/css만 존재하는 형태)로 서비스 제공이 필요할 때 가장 편하게 배포할 수 있는 사이트빌드/배포/호스팅까지 정적 웹 사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모든 기능을 쉽고 편하게 제공

velog.io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