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배포
AWS 실제 청구 요금2 + RDS (작성 중)
춘 몽
2024. 11. 26. 03:00
728x90
배경
이전에 AWS 실제 청구 요금을 모니터링 해보면서 EC2의 무료 사용 가능 범위에 대하여 알아보았었다.
당시 첫 요금에 RDS에서 요금이 조금 발생했었는데 그때는 잠깐 사용해보고 말았던거라 자세히 알아보지 못했었다.
하지만 이번에 제대로된 서비스를 만들기위해 RDS를 연결하여 배포하려고 한다.
AWS 이용 내역
- EC2에 NestJS 서버 한 개 생성
- RDS에 PostgreSQL DB를 한 개 생성
AWS RDS 프리티어 요금 부과 안되게 생성하기 (작성 중)
생성AWS RDS의 데이터베이스 생성으로 들어간다.(글에서 다루지 않은 부분은 기본설정 그대로 놔둡니다.) DB 인스턴스 식별자는 AWS의 DB탭에 표시되는 이름이며,마스터 사용자 이름은 DB 연결시
springdream0406.tistory.com
- EC2의 https를 위해 로드밸랜서 생성 -> 삭제됨.
모니터링
이제 모니터링을 해보고 결과를 추가하도록 하겠다.
참고로 AWS 초기 작업은 대략 11월 26 ~ 27일에 이루어졌다.
11월 요금 (USD 0.13)
첫 세팅부터 요금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세부적으로 봐보자.
퍼블릭 IPv4의 사용료가 발생했다.
이부분은 EC2에 https 적용을 위해 생성한 로드밸런서로 인해 발생한 요금이다.
Route 53 역시 https를 위해 호스팅을 생성하고 테스트를 하면서 발생한 요금이다.
RDS를 생성하기 전에 유튭 영상을 참고했었는데, 해당 영상에서는 GP3가 좀 더 좋은 것이니 선택하셨다.
나도 따라서 GP3를 선택했지만, GP3는 프리티어가 아니라 요금이 발생했고 GP2로 변경해주었다.
728x90